브로든투자자문
금 리사이클링이 금 가격 상승에 부담을 주는 이유 본문
금 리사이클링 증가의 배경
금 리사이클링(Gold Recycling)은 사용된 금 제품을 수거하여 다시 시장에 공급하는 방식입니다. 최근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안전자산으로서 금 수요가 급증했고, 이에 따라 금값이 역사상 최고치(3,015.73달러, 약 437만 원)를 기록했습니다.
세계금협회(WGC)에 따르면, 금 리사이클링 물량은 금값이 상승할 때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며, 최근 전체 금 공급량(연간 약 5,000톤)의 28%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
금 리사이클링이 금 가격 상승에 부담을 주는 이유
금 시장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으로 결정됩니다. 리사이클링을 통한 공급 증가는 금 가격의 상승을 억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.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그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.
즉각적이고 탄력적인 공급 증가
금 가격이 역사적으로 높아지면, 개인 및 기관들이 보유한 금을 시장에 내놓으면서 리사이클링 공급이 급증하게 됩니다. 이는 신규 채굴보다 빠르게 시장에 공급되어 가격 상승을 억제합니다.
추가 상승 여력 제한
금 가격이 급등하면 시장의 리사이클링 공급이 평소보다 크게 증가하며, 이는 추가 상승의 한계선을 형성하게 됩니다. 예를 들어,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당시 금 가격이 급등(온스당 2,000달러 돌파)했을 때, 리사이클링 공급량이 약 30% 급증해 추가 상승 폭을 억제한 바 있습니다.
최근 금값이 사상 최고치인 3,015.73달러를 기록한 상황에서도 리사이클링 공급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어, 금 가격 추가 상승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2025년 현재 금 시장 상황과 향후 전망
현재 금 가격은 역사적 고점인 온스당 3,015.73달러(약 437만 원)를 기록 중입니다. 주요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심화
주요국 중앙은행(중국, 인도, 튀르키예 등)의 금 매입 확대
지정학적 리스크 고조(미-중, 러시아-서방 긴장 심화)
하지만 높은 가격으로 인해 금 리사이클링 공급 물량 증가가 급격하게 나타나고 있어, 중장기적으로는 금값 추가 상승을 억제하거나 일정 부분 가격 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.
투자자의 전략적 대응 방안
리사이클링 물량 증가로 금 가격 상승이 부담을 받는 상황에서,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.
단기 전략 (1개월~3개월)
금 가격이 단기적으로 정체되거나 소폭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, 현 시점에서 신규 진입보다는 기존 보유분의 일부를 매도하여 차익을 실현하는 전략을 제안합니다.
장기 전략 (1년 이상)
인플레이션 압력과 지정학적 긴장감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므로, 가격 조정이 나타났을 때 점진적인 분할 매수로 접근하여 장기적 자산배분 전략을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시장 격언으로 『금값이 역사적 고점에 있을 때는 공급 증가를 주목하라』는 말이 있습니다. 리사이클링 증가가 나타나는 시점은 금 가격 상승이 단기적으로 한계에 도달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.
브로든투자자문의 마켓 뷰

현재 금 가격이 온스당 3,015.73달러(약 437만 원)라는 역사적 고점에 도달함에 따라 리사이클링 물량 증가로 인해 추가 상승 폭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 따라서 브로든투자자문의 매매신호 의견은 '매수유지'이지만 , 단기적인 차익실현 및 장기적 분할 매수 전략을 병행하는 신중한 대응을 권장합니다.


'해외선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세전쟁 이후 시작 환율전쟁, 달러 강세 시나리오 분석 (2) | 2025.03.28 |
---|---|
원화 ‘나홀로 약세’ 현상, 2025년 하반기 반등 시그널은? (2) | 2025.03.27 |
달러인덱스 하락에도 원/달러 강한 이유 (4) | 2025.03.24 |
딥시크 후폭풍 이어 BYD 쇼크, 글로벌 시장 흔들리나? (0) | 2025.03.22 |
트럼프 대통령의 원유 공급 확대, 유가 안정화 기대감 고조 (0) | 2025.03.21 |